반응형
지난 글 에서 정리한 내용과 같이 EC2 를 이전하는 작업을 정리해보았습니다.
https://threezerosin.tistory.com/23
[우당탕탕 AWS] 우당탕탕 AWS 관리하기
새로운 회사에서 백엔드 업무를 맡아 진행하면서 AWS 의 관리까지 담당하게 되었습니다.지난 회사에서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하이퍼바이저를 통해 VM 들을 관리하고 개발환경을 구축하였고, 운
threezerosin.tistory.com
기존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던 그대로 유지해 이전하는 방법을 채택하였습니다.
EC2 이미지 생성
- AWS EC2 서비스 콘솔에 접속하여 작업을 진행할 EC2 를 선택합니다.
- 작업 > 이미지 및 템플릿 > 이미지 생성 선택 (비활성화 옵션)
- 이미지 생성이 완료 되었으면, 이미지 > AMI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- 생성된 이미지를 확인
- 공유하려는 이미지의 AMI ID 를 클릭해 상세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- 하단의 권한 탭에 있는 공유계정 > AMI 권한 편집 클릭 혹은 계정 ID 추가 클릭합니다.
- AMI 권한 편집 > 공유 계정 > 계정 ID 추가 > 이미지를 공유 받으려는 계정의 ID (계정 B) 입력 후 등록(AMI 공유)
- B계정 콘솔에서 이미지 > AMI 카탈로그 > 내 AMI 탭에서 공유한 이미지를 확인 가능합니다.
- 해당 이미지를 선택 후 이름, 보안그룹, 키페어 등을 설정해줍니다.
- 신규 구성을 키페어와 보안 그룹은 모두 새로 구성하여 설정해주었습니다.
- AMI 로 인스턴스 생성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서버와 동일한 환경의 서버가 다른 계정에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우당탕탕 AWS] S3 : The bucket does not allow ACLs 해결하기 (5) (0) | 2024.07.29 |
---|---|
[우당탕탕 AWS] S3 데이터 복사 (계정 간 이전) (4) (0) | 2024.07.12 |
[우당탕탕 AWS] RDS 계정간 스냅샷 공유 (3) (0) | 2024.07.08 |
[우당탕탕 AWS] 우당탕탕 AWS 관리하기 (1) (0) | 2024.05.21 |
[우당탕탕 AWS] AWS Timezone 확인 및 변경 (0) | 2024.04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