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vOps

[우당탕탕 AWS] 신규 개발 및 운영환경 구성 (12)

ooin 2024. 10. 17. 23:41
반응형

이전작업까지 약 3주간의 작업을 통해 기존 운영환경을 이전하고 추가로 개발환경까지 구성할 수 있었습니다.

 

이전글

https://threezerosin.tistory.com/35

 

[우당탕탕 AWS] EC2, ELB, Route53 을 이용한 운영환경 구성 (11)

https://threezerosin.tistory.com/34 [우당탕탕 AWS] AWS SES 샌드박스 해제하기이전글https://threezerosin.tistory.com/33 [우당탕탕 AWS]AWS SES에 회사 이메일 연동 및 메일 전송하기이전글https://threezerosin.tistory.com/32

threezerosin.tistory.com

 


신규 인프라 구성도

 

기존

테스트 환경의 부재

  • 운영 EC2 만 존재 ( DB의 경우에만 RDS 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생성하여 분리 )
  • 개발과 테스트는 로컬 및 운영환경에서 진행됨

MSP 업체에 발생하는 비용이 전체 비용의 50% 이상

  • MSP 를 통해 구축된 인프라를 사용하고 있었지만, 유지보수 비용으로 전체 비용의 50%를 지불 중인 상황
  • 인프라 및 리소스에 대한 관리를 받고있지 못한 상황

변경

테스트 환경 구성

  • 별도의 개발서버 구성을 통한 테스트 환경구성

자체 AWS 운영

  • 신규 운영환경 구성을 통한 자체적인 서비스 운영 능력
  • 기존 비용 대비 50%이상 비용 절감

결론

AWS는 이번에 처음 접해봐서 제목도 우당탕탕 AWS 로 짓고 실제로 작업도 검색한 여러 내용을 참고해가면서 우당탕탕 작업을 진행했네요. AWS 에 서비스와 콘솔에 조금은 익숙해지는 시간이었고, 한번 작업했던 내용을 시간이 조금 지나고 블로그에 복기하면서 한번 더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습니다.이후에는 CI/CD 구성 및 모니터링 및 알림 시스템 구축 또한 진행하고 정리해보도록 할 생각입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