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우당탕탕 AWS] EC2, ELB, Route53 을 이용한 운영환경 구성 (11)
https://threezerosin.tistory.com/34
[우당탕탕 AWS] AWS SES 샌드박스 해제하기
이전글https://threezerosin.tistory.com/33 [우당탕탕 AWS]AWS SES에 회사 이메일 연동 및 메일 전송하기이전글https://threezerosin.tistory.com/32 [우당탕탕 AWS]AWS S3에서 "Action does not apply to any resource(s) in statement"
threezerosin.tistory.com
1. EC2 보안그룹 설정
구성되어있는 EC2 의 보안그룹을 확인
https://threezerosin.tistory.com/25
[우당탕탕 AWS] EC2 이미지 다른 계정으로 공유하기
지난 글 에서 정리한 내용과 같이 EC2 를 이전하는 작업을 정리해보았습니다.https://threezerosin.tistory.com/23 [우당탕탕 AWS] 우당탕탕 AWS 관리하기새로운 회사에서 백엔드 업무를 맡아 진행하면서 AWS
threezerosin.tistory.com
에서 이전한 EC2의 보안그룹을 아래와 같이 설정해두었습니다.
https/ https(443/ 80) 포트에 대해서는 모든 접근을 허가하고, ssh(22) 접근은 현재 사내에서 사용중인 IP에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.
2. 대상그룹 생성 & Elastic Load Balancer (ELB) 구성 및 보안그룹 지정
- 대상 그룹 설정: 로드 밸런서가 트래픽을 분산할 EC2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대상 그룹을 생성합니다. 대상 그룹의 상태 점검(Health Check) 설정도 구성하여 인스턴스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.
- 로드 밸런서 생성: AWS 콘솔에서 ELB 서비스를 선택하고, Application Load Balancer(ALB)를 생성합니다. ALB는 HTTP, HTTPS 트래픽을 로드밸런싱 할 때 사용하는 로드밸런서입니다.
- 리스너 설정: 로드 밸런서에 리스너를 추가하여 트래픽을 처리할 포트를 지정합니다. 일반적으로 HTTP(80) 및 HTTPS(443) 리스너를 추가합니다.
- 보안그룹 설정: 생성할 로드밸런서의 보안그룹을 설정합니다.
3. route 53 에 도메인 등록
- 도메인 등록 또는 기존 도메인 사용: 기존 도메인을 이전합니다.
기존에 사용하던 도메인은 가비아에서 구매 및 관리하고 있었습니다.
레코드 유형중 NS 인 레코드의 값을 가비아 에 등록된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수정합니다.
가비아 네임서버 변경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가능합니다.
https://imweb.me/faq?mode=view&category=29&category2=34&idx=184
- A 레코드 설정: ELB에 연결할 A 레코드를 생성합니다. A 레코드의 값을 ELB의 DNS 이름으로 설정하여 트래픽을 로드 밸런서로 라우팅할 수 있게 합니다.